티스토리 뷰
반응형
우선 정보나 데이터를 구분해서 사용하기도 하지만(정보는 "뜻을 가지는 데이터"라고 하여 구정보와 데이터를 구분하기도 한다) 여기서는 그냥 구분짓지 않는다. ^^;;
데이터(정보)의 시각화(Visualization)는 정보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직관적으로 이해(intuitive understanding)할 수 있게 표현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시각화는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지만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Bio* 관련 논문들을 보면 visualization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논문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리눅스 커널 시각화
다음의 그림은 리눅스의 커널을 시각화한 것으로 각각의 색상은 다음을 나타낸다. 이그림 한장으로 복잡하고 거대한 리눅스의 커널을 한눈에 쉽게 볼 수 있다. 소스 파일과 헤더 파일이 많다라는걸,,,, ^^;
리눅스 소스 코드의 시각화
이자료는 리눅스 소스 코드를 3차원으로 표현한 것으로 각각이 의미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자료 출처 : telnet ascii-wm.net 2006)
Genome Brower(요즘 진행상황이 좀 뜸하다. ^^)를 만들면서 생물학에서 대용량의 거대한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것에 대한 뭔가 체계적이고, 좀 더 심오한 무언가를 찾기 위해서 몸부림 치고 있는 중이라,,, ㅋㅋㅋ 이리저리 기웃거리면서 찾은 것들을 나름 정리해 보고 있는 중이다. 아이디어 모집중이라고나 할까??
Genome 정보의 시각화
이 부분에 대해서는 두 말 할 필요가 있을까? 참 많은 시도가 있으면서도 그 나물에 그밥,,,ㅋㅋㅋ 아래 그림은 액세스 데이터베이스와 ODBC 연결해서 데이터베이스의 각 필드값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색상과 모양으로 바꾸면서 뭔가 유용한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해준다.
이건 그거 ^^;; 오늘은 여기까지
데이터(정보)의 시각화(Visualization)는 정보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직관적으로 이해(intuitive understanding)할 수 있게 표현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시각화는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지만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Bio* 관련 논문들을 보면 visualization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논문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리눅스 커널 시각화
다음의 그림은 리눅스의 커널을 시각화한 것으로 각각의 색상은 다음을 나타낸다. 이그림 한장으로 복잡하고 거대한 리눅스의 커널을 한눈에 쉽게 볼 수 있다. 소스 파일과 헤더 파일이 많다라는걸,,,, ^^;
- Source files : yellow
- Header files : pink
- Text files : dark blue
- Makefiles/.in files: light blue
- Shell scripts: red
- Images: green
- Non-registered file suffixes: grey (i.e. README.foo)
리눅스 소스 코드의 시각화
이자료는 리눅스 소스 코드를 3차원으로 표현한 것으로 각각이 의미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 Grey boxes are files.
- The green tree is the directory structure. The two main hubs are "fs" and "net". The "drivers" tree is not rendered.
- Blue lines are function dependencies.
- Red lines are variable dependencies.
- Yellow flashes show file size modifications.
- Green flashes show files being moved across directories.
- Red flashes show new files.
월드컵 경기의 시각화
이것은 월드컵 경기의 동영상을 아스키 문자로 시각화한 것으로 텔넷으로 다음의 주소로 들어가면 볼 수 있다. 뚫어지게 쳐다 보고 있으면 축구선수가 공 몰고 가는 모습이 보일것이다.
이것은 월드컵 경기의 동영상을 아스키 문자로 시각화한 것으로 텔넷으로 다음의 주소로 들어가면 볼 수 있다. 뚫어지게 쳐다 보고 있으면 축구선수가 공 몰고 가는 모습이 보일것이다.
- telnet ascii-wm.net 2006
(자료 출처 : telnet ascii-wm.net 2006)
Genome Brower(요즘 진행상황이 좀 뜸하다. ^^)를 만들면서 생물학에서 대용량의 거대한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것에 대한 뭔가 체계적이고, 좀 더 심오한 무언가를 찾기 위해서 몸부림 치고 있는 중이라,,, ㅋㅋㅋ 이리저리 기웃거리면서 찾은 것들을 나름 정리해 보고 있는 중이다. 아이디어 모집중이라고나 할까??
Genome 정보의 시각화
이 부분에 대해서는 두 말 할 필요가 있을까? 참 많은 시도가 있으면서도 그 나물에 그밥,,,ㅋㅋㅋ 아래 그림은 액세스 데이터베이스와 ODBC 연결해서 데이터베이스의 각 필드값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색상과 모양으로 바꾸면서 뭔가 유용한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해준다.
이건 그거 ^^;; 오늘은 여기까지
(자료 출처 : SNP View)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