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ari에서 한글 입력이 되지 않는다는 긴급 제보를 받고 들어가보니 진짜루 한글이 입력되지 않는 일이 벌어지고 있었습니다. 이런 맥을 쓴다는 놈이 자기 블로그가 사파리에서 한글 입력이 되지 않는 것도 모르고 있다니,,,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스킨을 변경해서 한글을 입력해보니 잘되는것이었습니다. 그럼 문제는 CSS뿐,,,, CSS의 textarea 부분에 font-family가 두번 지정되어 있었습니다. 그외에는 뭐 봐도 모르겠구,,, 하나 살짝 지웠더니 한글이 입력이 잘되는 ^^;;; 물론 윈도우용 Safari가 아니라 맥용 Safari입니다. 이 자리를 빌어서 다시 한번 lordmiss님께 감사를,,,,^^;; 코멘트는 글 내용과 상관없어도 상관없습니다. ㅋㅋㅋ
일전에 지도상의 좌표에 해당하는 주소를 반환하는 API를 만들고 나서, Programmable Web에 등록했는데 몇주가 지나도 등록이 안되어 있길래 안되나 부다 했더니, 오늘 가보니 등록 되었습니다. ^^;; 등록된 이상 좀더 신경좀 써서 개선해나가야 할 책임감이 생겨버렸습니다. (^____^);; Geocoding Service for Korea 란 이름으로 등록되었군요,,,왜 이렇게 등록이 더딘거야~ 좀더 채워 나가야지,,ㅋㅋㅋ
일전에 저는 MySQL 데이터베이스로 부터 대규모의 이미지를 생성하려고, 윈도우상에서 Java 코드를 작성했습니다. 이 Java 코드는 Frame안에 Panel을 만들고, DB에서 좌표값을 받아와서 이 Panel안에 그림을 그리게 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Java Frame을 통째로 이미지 파일로 만드는 아주 간단한 코드입니다. //Java 프레임을 만듭니다. Frame f = new Frame("Frame"); f.setBounds(0, 0, 400, 400); f.setTitle("Component Testing"); //노란색 패널을 만듭니다. JPanel BasePanel = new JPanel(); BasePanel.setLayout(null); BasePanel.setBounds(0, 0, 4..
BioBlogRSS의 통계 정보를 공개합니다. 공개하는 의미는 뭐 궁금해 하실까봐??? ^^;; 이런 정보를 통해 좀 더 여러분들의 사랑을 구하는 구애 활동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간단하게 살펴보면 매일 200명 이상은 방문하고 있습니다. 뭐 실제 방문자는 여기의 몇 %를 차지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여기서 방문자 활동 정보가 매우 재미있는데요,, 조회율이 약 6%로 대부분 제목들만 보시고 실제 해당 블로그는 가보지 않는다는 그런 의미겠죠. 그렇다면 좀 더 블로그의 글을 적극적으로 소개하는 방법으로 비누인형님이 잠깐 언급하셨던(댓글에서,,) 올블로그의 티페이퍼와 같이 BioBlogRSS의 글을 주 또는 월 단위로 뽑아서 간단히 소개하는 형식을 통해 좀 더 좋은 글들을 알리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
어제 저녁 11시부터 Drug Discovery and Developement 가 시작되었다. 첫째날인 어제는 Drug Discovery라는 주제라기 보다는 요즘 많이 회자되고 있는 Grid, e-Science, 협업, High Performance Computing의 주제로 일전에 분자설계연구소에서 개최한 Virtual Laboratory based on GRID Tech와 엇비슷?한 주제였다. 내가 듣고 싶었던 세션은 mpiBLAST를 만든 Wu Feng 교수의 Parallel Sequence Search with mpiBLAST였는데,, 그만 그전에 잠이 들어버렸다. 이런, 이거 들을려고 그렇게 안자고 있었건만,, ㅜㅜ 그건 그렇고 요즘 왜 이렇게 Grid기반(High Performance Comp..
국내 번역서 제목은 "집단지성 프로그래밍" 원서 제목은 "Programming Collective Intelligence: Building Smart Web 2.0 Applications" 제목은 우선 접어두고, 한빛미디어의 새로운 번역서인데, 30일날 나온다는군요. 제목만 보고서는 자바스크립트나 Ajax 뭐 이런것들 나오겠거니 했는데 목차를 보니 이건 제 생각이 빗나가 버렸습니다. Programming Collective Intelligence: Building Smart Web 2.0 Applications 잠깐 주요 목차(낚시성 목차?? ^^)를 보시면, K-Means ClusteringNetwork VisualizationTraining the ClassifierTraining the Tree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