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백마디 글 보다 동영상을 보시면 확실히 감이 오실겁니다. 구글맵상의 좌표를 주소로 바꾸어 주는 Reverse Geocoding Open API 입니다. 저번의 Geocoding API와 한셋트가 되겠죠 ^^ 구글맵 매쉬업 - 지도상의 위치를 클릭하면, Reverse Geocoding Open API에 해당 좌표값을 주고, 주소를 얻어오는 매쉬업입니다. 제가 만들고 제가 써먹네요 ^^;; 대충 해본 결과 만족스러운, 비교적 잘 맞는 주소가 나옵니다. ^^;; 호출방법 Open API 호출 방식은 간단한 REST 방식을 사용합니다. reversegeocoding_search를 호출할 수 있는 URL은 http://www.hongiiv.com/service/reversegeocoding.php?lat=v..
지난번 포스팅에서도 언급했고,, Web2.0과 인터넷지도에서도 언급했듯이 우리나라 우편번호에 해당하는 네이버 지도상의 좌표입니다. 간단하게 우편번호 DB의 주소를 네이버의 OpenAPI를 통해서 쿼리를 날려서 네이버 지도의 좌표값을 입력한 DB입니다. 대충 이렇게 생겼습니다. ^^ 물론 우편번호상의 주소가 네이버에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런것들은 상위 주소?로 일괄적으로 넣었습니다. 따라서 이 DB는 정확하지 않다는 것을 알려 드립니다. 부탁하시는 분들이 좀 있어서 아예 블로그에 공개합니다. 우편번호지도좌표DB다운로드
바이오인포매틱스 분야에서도 많은 부분에서 컴퓨팅 파워를 필요로 하지만,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부분은 genome comparison과 alignment 일것이다. 이러한 대용량 컴퓨팅 파워에서 그래픽 카드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GPU의 그래픽 이외의 계산에 응용되기 시작했다. 그런데 여기서 한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다. 슈퍼컴퓨팅 분야에서 클러스터를 이용한 방법은 비교적 값싼 하드웨어를 통해서 높은 성능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각 컴퓨터에 분산된 메모리에 접근해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MPI와 같은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병렬 프로그래밍을 해야만 한다. 그래야 분산된 메모리를 마치 하나의 메모리처럼 사용하여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GPU의 성능이 아무리 뛰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