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유전체 지도 첫 완성의 의미
오늘 포털 사이트 및 언론사에 올라온 기사 중 재미있는게 나와서 잠깐 소개하려고 한다. 이길여암당뇨연구원의 원장인 김성진 박사의 유전체 염기 서열을 완전 해독했다는 기사였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바로 유전체 염기 서열을 완전 해독, 그리고 그것이 한국인이라는 것이다. 이제까지 DNA 이중나선 구조 해석으로 노벨상을 수항한 제임스 왓슨 박사로 15억원(2008년), 셀레라를 창립한 크레이그 벤터 박사 1000억원(2007년 발표), 중국의 양 후안밍 박사(2008년 발표)로 전체 시퀀스 데이터가 공개된 사례로는 세계적으로도 다섯 손가락안에 들게 되었다. 이것을 가지고 크게 3가지 부류의 기사가 나왔다. 1. 한국인 유전체 지도의 첫 완성에 초점을 둔 기사 2. 너무 성급하게 공개한 것 아니냐? 라는 기사 ..
유전자정보분석
2008. 12. 5. 12:34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