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모니터링에 대한 이야기인데요, 모니터링 대상이 조금 바뀌었습니다. 바로 질병입니다. 예전에 HealthMap(Global Dsease Alert Map)이라는 서비스에 대해서 언급한적이 있는데요, 이 서비스는 ProMED Mail, WHO, Google News 등등 수많은 웹사이트에서 질병에 대한 정보를 모아서 이를 구글맵에 보여주는 서비스입니다. 10월 초에 조류독감에 대한 내용들이 우리나라에 보고되고 있지만, 안심 수준인 주황색입니다. 서비스는 간단한데, 이를 구축하는것은 꽤나 복잡합니다. 20,000여개의 웹 사이트의 정보를 나타내는 ProMED Mail 등의 14개의 소스로 부터 질병정보, 지리정보, 질병대상 등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자신들이 이미 만들어 놓은 딕셔너리를 통해 카테고리..
알츠하이머와 천식이 관련이 있을까? 에이즈와 알츠하이머와의 관계는? 이러한 물음에 대한 접근을 보여주는 아주 재미있는 논문이다. 고려대학교의 고광일(물리학)교수의 논문이다. 처음에는 질병들간의 네트워크를 그리더니 이제는 약물과의 관계까지 ^^ The human disease network Drug-target network Mapping the Human 'Diseasome' 가장 기초적인 작업은 질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OMIM 데이터베이스에서 각 질병과 그 질병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추출하고, 타 질병의 유전자와 일치하는 질병들간에 네트워크를 작성하는 것이다. 참 간단한 아이디어인데,,, 누구도 시도하지 않았다는것,,, ^^ 박모박사님이 논문세미나 시간에 발표한 논문이었는데, 하나 그려 놓으면 재미..
오늘은 너무 허탈한 마음과 한편으로는 아직 뭔가 해야할 일이 있다는 것에 감사?한 마음에 포스팅을 합니다. 여러분은 질병관리본부라는 기관을 아시는지요? 질병관리본부 이전에 국립보건원에서 얼마전에 명칭이 바뀌었죠. 요번에 홈페이지가 바뀌었는데요,, 이전 홈페이지에 비해 정보에 접근하기가(이것도 순전히 제생각으로 ^^;;) 좀 뭔가 어색하고, 또한 그 정보 또한 한 국가 기관에서 제공한다기에는 내용면에서 많이 부실해 보입니다. 왜 이글을 쓰냐구요,, 제 블로그의 유입검색어에 "연령별 질병"이라는 단어가 오늘 보이길래 아니 왜? 내 블로그에 이런 단어로 유입되었을까? 라고 생각해봤더니 이전에 포스팅된 글때문인거 같더라구요? 이 유입어와 요번에 바뀐 홈페이지의 질적 양적 불만이 함께 믹스되어 이렇게 글을 쓰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