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PubMed의 검색 결과로 나온 논문을 클릭하면 유사논문 찾기 서비스에 대해서 잠깐 언급했는데, 오늘은 PubMed의 검색결과를 impact factor 순으로 정렬해서 보여주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한다. BioBlogRSS에 자주 등장하는 YOKOFAKUN 블로그의 Pubmed, impact factors, sorting and FriendFeed 글에서 나온 이야기이다. 여기에서 우선 jar 파일을 다운로드한 후, PubMed의 검색결과를 XML 형태로 저장한다. Display 형태를 XML로 하고 File을 선택하면 XML 형태의 pubmed_result.txt 라는 검색결과 파일을 얻을 수 있다. 그럼 준비된 jar 파일을 PubMed검색결과 파일을 입력으로 주고 실행하면 sort된..
위/경도를 넣으면 해당 지점의 주소를 반환하는 Reverse Geocoding을 처음 만난것은 2007년도 중반쯤 야후의 플릭커 서비스에서였다. 예전 포스팅에서(아직 플릭커가 한글화 되기전 영문으로 국내 주소가 나오는것을 깜딱 놀랐었다.) 좌표지명변환과의 첫 대면을 볼 수 있다. ^^;; 그 후로 우편번호에 해당하는 주소지의 좌표를 죄다 긁어 모아서 국내 좌표 지명 변환 서비스를 만들었는데,,, 이미 이전에 야후 거기에서도 지도 오픈 API를 제공하고 있었다는걸 댓글을 보고 알게 되었다. ^^;; 야후의 Open API 호출 결과 http://kr.open.gugi.yahoo.com/service/rgc.php?appid=YahooDemo&latitude=36.36513767979439&longitude..
PageRank without hyperlinks: reranking with PubMed related article networks for biomedical text retrieval BMC Bioinformatics에 나온 논문인데,, 간단하게 Google의 PageRank가 웹페이지의 특성인 hyperlink를 통해서 점수를 주는건데,,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PageRank에서의 hyperlink 대신에 논문의 인용(citation)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음 꽤 그럴싸한데,, 근데 원래 그러던거 아니였던건가보네 ^^;; 뭐 이쪽에는 별 관심이 없었던 터라. 자세히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그냥 PubMed에서 검색 결과와 함께 오른쪽에 보여주던 Related Articles가 오늘 따라 예사롭게..
Embarrassingly parallel: 완전하게 독립되어 각각의 프로세서에 나누어 실행될 수 있는 병렬화의 하나~ 각 sub task와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없는,,, 아래 그림에서 coarse-grained parallelism이 여기에 속할 수 있겠다. Grid Computing의 응용의 하나인 SETI@home이나 MapReduce도 Embarrassingly parallel쪽의 병렬화라고 볼 수 있겠다. ^^ Coarse-Grain, Fine-Grain Parallel embarrassingly parallel: disconnected computational embarrassingly parallel: master-slave approach 요 몇일 Hadoop 예제를 돌려보면서, 이 예제들..
BioBlogRSS에 올라온 비디오인데,,, 오늘의 심슨이 있기까지 입니다. ^^;;